상조소식 > 법률ㆍ정책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산분장, 자연장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
 
상조매거진   기사입력  2023/08/25 [15:08]

 

-해양장 이용율 해마다 급증···“상조업체 진출해도 경쟁력 있을 것”

 

정부가 올해 화장한 유골을 산이나 바다 또는 특정 장소 등에 뿌리는 장사방식인 ‘산분장’의 공식 도입을 예고한 가운데, 그에 따른 정책 구체화 대응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오고 있다. 

현재 산분장 가운데 해양장이 가능한 인천시에 따르면 2011년도 888건에서 2020년 3571건으로 연간 이용율이 해마다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화장율이 보편적인 장사법으로 자리잡으면서 덩달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분장의 제도화 대책 마련을 촉구한 울산연구원 문화사회연구실 이재호 박사는 지난 20일 펴낸 울산경제사회브리프 147호를 통해 화장 후 봉안시설의 안치 완료 시점까지 얼마 남지 않은 지역이 있어 기존 자연장 외에도 산분에 대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 박사에 따르면 울산시의 경우 추모공원의 연 평균 1730건 정도의 수요가 있고, 2024년부터는 부족 현상이 예상된다는 지적이다. 또한 울산의 공설 봉안시설인 울산하늘공원 ‘추모의 집’을 리모델링해 봉안 수요에 대응하고, 자연장 시설 이용 유도에 부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울산시의 경우 전체 가구는 2021년 기준 45만 1432가구인데, 1인 가구는 13만 3061 가구이며 전체 가구의 29.5% 수준에 달한다. 이 가운데 65세 이상 1인 가구는 3만 976가구로 전체 1인 가구의 23.3%를 차지하는 상황이며 이러한 고령화 현상은 울산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추세로 이 같은 가구 유형의 변화는 장례 방식 가운데 산분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고령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를 반영해 보건복지부는 매장, 봉안, 자연장 등의 기존 장사 방법 외에 산분에 대한 선도사업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담은 ‘제3차 장사시설 수급 종합계획(2023~2027)’을 올초 발표한 바 있다. 

 

보건복지부는 산분제도에 대한 대국민 홍보 병행으로 국민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며 화장시설과 봉안시설 내 골분을 뿌릴 수 있는 시설(일명 유택동산)을 리모델링해 친자연적 공유형 산분섹터 조성을 검토하고 산분수목장림, 해양장 등 산분에 대한 법적 근거를 2024년까지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1인 가구 확산으로 장사정책으로서도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산분장은 제도화가 될 경우 적지 않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잔디장과 수목장으로 대표되는 자연장 방식과 조화를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준비를 갖춰 나간다면 부족한 봉안당 문제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전망이다. 

 

이 박사는 "현재 우리나라의 장사문화는 과거 묘지 방식을 벗어나 화장 방식으로 완전히 자리매김했으며 세대 특성에 맞는 장례문화 대응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기라는 점을 인식하고 산분장의 제도화가 완전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2027년에 맞춰 정책화가 필요하다”며 “후손에 전혀 부담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마음의 짐을 줄일 수 있는 장례 방법이 될 수 있는 산분장은 '웰다잉(Well-Dying)'의 한 부분으로 이해하고 정책으로 구체화해 나가도록 해야한다”고 조언했다. 

 

현재 산분장 중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키는 부분은 해양장이다. 인천 연안부두와 부산의 수영만에서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해양장은 지역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높은 이용 건수를 기록하고 있다.

 

전국 해양장의 90% 수요를 감당하고 있는 인천시에 따르면 연간 해양장 진행 건수가 2011년 888건에서 2013년 913건, 2017년 2453건으로 대폭 증가한 후 2020년 3571건으로 해마다 이용율을 갱신하고 있다. 봉안당 안치보다 저렴한 40만원에서 50만원 대로 이용가능한데, 제사상 차림, 유골함 등은 별도 판매를 통해 부수익을 얻고 있는 구조다.

 

이에 복수의 업계 관계자들은 상조업체 역시 멤버십 또는 부가 서비스로 해양장을 도입한다면 새로운 장사문화를 알리고, 또 선도해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소비자에게는 봉안당과 더불어 선택의 폭을 넓히는 한편, 일부 금액에 대한 전환 서비스로 제공함으로써 부금의 유연한 활용을 독려하고 이는 또 회사의 매출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상조업계가 펫 관련 장례 결합 등 전에 없던 마케팅에 나서며 라이프 케어 서비스의 확장을 꾀하고 있는데, 이처럼 장례 서비스에 특화된 경쟁력을 갖고 있는 상조업계가 해양장까지 섭렵한다면 소비자에게도 꽤나 설득력을 줄 수 있는 차별화 서비스가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인천 해양장의 경우 그 업체 수가 10곳 미만으로 파악되는데 별도의 영업사원없이 장례식장에서 필요에 따라 연결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고, 그 밖에 수요는 인터넷, 전화 접수를 통해 이뤄지고 있고 그 마저도 특정 업체에 쏠리는 구조다”라며 “선박을 갖춘 업체와 협업을 하든, 직접 진출하든 상조회사의 판매 인프라와 장례의전 능력을 더한다면 더욱 경쟁력있는 제대로 된 서비스를 선도할 수 있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해양장과 같은 산분장의 경우 현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무연고자에 대한 장례 절차에 있어서도 높은 수요가 나올 수 있다고 보여진다”라며 “현재 무연고자의 시신 처리는 봉안당에 한데 모아 처리되는데, 이는 고인에 대한 존엄성을 크게 훼손하는 처사로 해양장과 같은 방식이 도입된다면 더욱 예와 도리에 맞는 장례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3/08/25 [15:08]  최종편집: ⓒ sangjomagazine.com
 
  • 도배방지 이미지

많이 본 뉴스